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천주교 대구대교구 젊은 사제 심기열 신부 면직 사건!

 

 

 

 

 

 

서론
, 한 편의 드라마처럼 펼쳐진 대구대교구 젊은 사제 심기열 신부 면직 사건! 2022 12월 말, 교구 측은교회법 어기고 명령 불순종이라며 사제직 박탈을 단행했습니다. 하지만 통보는 멋드러지게 간결했죠: “12 31일부휴양에서면직으로 변경한다.” 아무런 설명 없이, “휴양 보내놓고 갑자기 면직이란 코드로 종결! 평신도 분들은 물론, 심 신부 본인도?’란 질문에 답 못 듣고 하루아침에 면직 통지가 날아왔습니다.


본론

  1. 내부 고발했더니? 징계 대상 1호가 된 사제
    2021
    년 말, 심 신부는 보좌로 있던 본당의 주임신부가 미사·사목은 팽개치고 골프·당구 삼매경이라는 걸 교구에 고발했죠. 근데 교구 성직자국장의 증언은 이랬습니다:

젊은 보좌신부가 주교님 앞에서 그런 말을 하는 건 일반적이지 않다.”
이 얼마나 교구답게불경조직문화의 맛을 보여주는지, 정작 비리 본인은 안 건드리고 심 신부만 피구공이 되었어요.

  1. 익명 자문단의편집성 성격장애진단프리패스 징계 카트 탑승
    2022
    3, 이메일 한 통 왔습니다: “억압된 감정 있으니 상담 가보세요.” 근데 상담가든 심리전문가든 안 끼고, 누군가의 '으로편집성 성격장애 의심결론 내리고, 전보+휴양 조치 진행. 이게 질병이니 진단이니의 영역인가요, 아니면 월급 찍는 카드 한 장 끊는가요?
  2. 휴양 이유? 구석에 찌그러진인간적 근거두 가지
  3. 순명했으면 정신과 가지 말라는 이중잣대
    심 신부는 8개월 동안 병원·심리센터 전전했지만, 교구는교구 지정 의원 안 갔다고 불순명이라며 최종 면직! “순명이라는 카드로 정신과 치료까지 통제하다니요. 이거 종교인가, 권위주의 테마파크인가요?
  4. 미쳤다는 입막음 테크닉
    자문단 보고 한 번도 안 했는데, ‘정신병자낙인 휙! 주변 불 보듯 뻔하다며도움이 없었다. 강에 뛰어들면 끝날까도 생각했다는 심 신부의 고백은, 결국 교구 권력이 반체제 인사를 지우는 매뉴얼이 됐습니다.

결론
이 사건은 단순한 면직이 아닙니다.

  • 권위주의 통치 실험장에서 내부 고발자가 어떻게 소거되는지,
  • 성범죄자는 솜방망이 처벌, 문제 제기는 초강수 면직,
  • 사법·인권위 모두 교회의우리끼리 체제에 철저히 면죄부써버림,
  • 밀실 회의록에는차라리 면직이 낫다라는 심드렁한 언급

결국썩은 가지는 쳐내고 새순은 키우자고요? 팥으로 메밀국수를 만들 수는 없잖아요. 조직이 먼저 개혁해야지, 누가 믿고 따르겠습니까. 내부 고발자를 정신병자로 몰고 가는 권위주의, 성범죄엔 눈감고 권위엔 칼 꽂는 이중 구조이게 진짜 한국 천주교의 내막이라면, 썩은 나무는 언제 없어질 수밖에 없겠죠.

이 사건은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닙니다. 권위부터 구조, 문화까지 모조리 뒤집지 않으면, ‘살아 있는 신앙 공동체는 꿈도 못 꿉니다. “썩은 가지는 결국 떨어진다며 한국 천주교계에 던진 이 경고, 과연 들릴까요?

 

추천태그 : #대구교구 #천주교 #면직 #정신질환 #내부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