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
자, 한 편의 드라마처럼 펼쳐진 대구대교구 젊은 사제 심기열 신부 면직 사건! 2022년 12월 말, 교구 측은 “교회법 어기고 명령 불순종”이라며 사제직 박탈을 단행했습니다. 하지만 통보는 멋드러지게 간결했죠: “12월 31일부 ‘휴양’에서 ‘면직’으로 변경한다.” 아무런 설명 없이, “휴양 보내놓고 갑자기 면직”이란 코드로 종결! 평신도 분들은 물론, 심 신부 본인도 ‘왜?’란 질문에 답 못 듣고 하루아침에 면직 통지가 날아왔습니다.
본론
- 내부 고발했더니? 징계 대상 1호가 된 사제
2021년 말, 심 신부는 보좌로 있던 본당의 주임신부가 미사·사목은 팽개치고 골프·당구 삼매경이라는 걸 교구에 고발했죠. 근데 교구 성직자국장의 증언은 이랬습니다:
“젊은 보좌신부가 주교님 앞에서 그런 말을 하는 건 일반적이지 않다.”
이 얼마나 교구답게 ‘불경’ 조직문화의 맛을 보여주는지, 정작 비리 본인은 안 건드리고 심 신부만 피구공이 되었어요.
- 익명 자문단의 ‘편집성 성격장애’ 진단…프리패스 징계 카트 탑승
2022년 3월, 이메일 한 통 왔습니다: “억압된 감정 있으니 상담 가보세요.” 근데 상담가든 심리전문가든 안 끼고, 누군가의 '감’으로 ‘편집성 성격장애 의심’결론 내리고, 전보+휴양 조치 진행. 이게 질병이니 진단이니의 영역인가요, 아니면 월급 찍는 카드 한 장 끊는가요? - 휴양 이유? 구석에 찌그러진 ‘인간적 근거’ 두 가지
- “순명했으면 정신과 가지 말라”는 이중잣대
심 신부는 8개월 동안 병원·심리센터 전전했지만, 교구는 “교구 지정 의원 안 갔다고 불순명”이라며 최종 면직! “순명”이라는 카드로 정신과 치료까지 통제하다니요. 이거 종교인가, 권위주의 테마파크인가요? - ‘미쳤다’는 입막음 테크닉
자문단 보고 한 번도 안 했는데, ‘정신병자’ 낙인 휙! 주변 불 보듯 뻔하다며 “도움이 없었다. 강에 뛰어들면 끝날까도 생각했다”는 심 신부의 고백은, 결국 교구 권력이 반체제 인사를 지우는 매뉴얼이 됐습니다.
결론
이 사건은 단순한 면직이 아닙니다.
- ‘권위주의 통치 실험장’에서 내부 고발자가 어떻게 소거되는지,
- 성범죄자는 솜방망이 처벌, 문제 제기는 초강수 면직,
- 사법·인권위 모두 교회의 “우리끼리 체제”에 철저히 면죄부써버림,
- 밀실 회의록에는 “차라리 면직이 낫다”라는 심드렁한 언급…
결국 “썩은 가지는 쳐내고 새순은 키우자”고요? 팥으로 메밀국수를 만들 수는 없잖아요. 조직이 먼저 개혁해야지, 누가 믿고 따르겠습니까. 내부 고발자를 정신병자로 몰고 가는 권위주의, 성범죄엔 눈감고 권위엔 칼 꽂는 이중 구조… 이게 진짜 한국 천주교의 내막이라면, 썩은 나무는 언제 없어질 수밖에 없겠죠.
이 사건은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닙니다. 권위부터 구조, 문화까지 모조리 뒤집지 않으면, ‘살아 있는 신앙 공동체’는 꿈도 못 꿉니다. “썩은 가지는 결국 떨어진다”며 한국 천주교계에 던진 이 경고, 과연 들릴까요?
추천태그 : #대구교구 #천주교 #면직 #정신질환 #내부고발